5번 파업과 4번 직장폐쇄…MLB노사, 닷새 안에 새 협약 합의할까

5번 파업과 4번 직장폐쇄…MLB노사, 닷새 안에 새 협약 합의할까

주소모두 0 1,110 2022.02.24 13:26

노사분규 거쳐 FA 제도 확립…구단은 샐러리캡 도입 번번이 실패

MLB 노사가 협상 테이블을 차린 플로리다주 로저 딘 스타디움
MLB 노사가 협상 테이블을 차린 플로리다주 로저 딘 스타디움

[AP=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장현구 기자 =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구단이 선수노조에 3월 1일(한국시간)까지 새 단체협약에 합의하지 못하면 2022년 정규리그 일정을 축소할 수밖에 없다고 사실상 최후통첩하면서 협상이 급물살을 탈지 주목된다.

경기 축소는 곧 연봉 감소와 직결되기에 이제 공은 선수노조에 넘어왔다.

AP 통신이 24일 예상한 내용을 보면, MLB 정규리그가 오는 4월 1일 정상 개막하지 못해 일수가 줄어들면 선수들은 하루에 총 2천50만달러(약 244억원) 이상의 연봉을 잃는다.

MLB는 이번까지 9번의 노사분규를 겪었다.

형태는 MLB 구단주들이 직장 문을 닫는 직장폐쇄와 선수노조가 경기에 뛰지 않는 파업 두 가지로 나뉜다.

MLB는 지난해 만료된 단체협약을 대신하는 새 협약에 합의하지 못해 2021년 12월 2일부로 빅리그 선수와 관련한 모든 구단 행정이 중단되는 직장 폐쇄 상태에 들어갔다. 직장폐쇄는 4번째다.

파업은 5번 있었다. 1972년 역사상 첫 번째 노사분규는 파업이었다.

지난 1994∼1995년 2년에 걸쳐 232일간 948경기가 취소된 파업이 빅리그 역사에서 가장 유명하다.

직장폐쇄로 텅 빈 MLB 에인절스 스프링캠프
직장폐쇄로 텅 빈 MLB 에인절스 스프링캠프

[AP=연합뉴스 자료사진]

노사분규의 원인은 돈이다.

1972년 13일간 진행된 첫 파업은 선수 연금과 연봉 조정 때문에 일어났다. 선수노조는 연금 펀드를 50만달러 증액하고, 노사협약에 연봉 조정 문항을 추가해 뜻을 관철했다.

1973년 직장폐쇄를 거쳐 선수의 연봉 조정 신청 자격이 확립됐다. 2년 연속 빅리그 출전 일수를 채웠거나 빅리그 서비스 타임 누적 3년을 채운 선수는 연봉 조정을 신청할 수 있게 됐다.

1973년과 1976년 직장폐쇄, 1980년 파업 땐 시범경기만 영향을 받았을 뿐 정규리그 경기를 취소하진 않았다.

과도한 자유계약선수(FA) 보상을 바라던 구단주와 FA 조기 취득을 요구한 선수노조가 맞서 1981년 두 달 넘게 경기가 열리지 않는 파업이 발생했다.

그해 정규리그 일정의 38%인 713경기가 열리지 않았고, 빅리그 산업 전체는 1억4천600만달러라는 큰 손실을 봤다.

1990년 직장 폐쇄는 연봉 조정, FA, 최저 연봉 등의 이견에서 촉발됐다.

선수노조는 구단의 연봉 총 상한제(샐러리캡) 도입에 반대했다. 이 영향이 지금도 이어져 MLB는 지금도 샐러리캡을 운영하지 않는다.

빅리그 선수의 최저연봉이 최초로 10만달러를 돌파한 것도 1990년 직장폐쇄가 풀린 뒤다.

그로부터 4년 후 구단주들이 샐러리캡을 단체협약에 밀어붙이려고 하자 선수노조는 1994년 시즌 중반 빅리그 역사상 가장 비극적이라는 시즌 중 파업을 택했다.

2년에 걸친 파업 탓에 무려 948경기가 열리지 않았고, 1994년 포스트시즌은 취소됐다. 월드시리즈가 열리지 않은 건 처음이었다.

연방 정부가 사태 해결에 개입한 끝에 해를 넘겨 파업이 종료됐다.

직장폐쇄 두 달을 넘긴 올해 구단주와 선수노조는 FA 취득 기한, 부유세(균등경쟁세) 배분, 연봉 조정 신청 자격 취득 이전 선수 대우 문제, 최저 연봉, 구단의 선수 빅리그 출전 일수 조작 문제 등 거의 전 분야에서 평행선을 달린다.

이미 스프링 트레이닝 개막일이 늦춰지고, 시범경기도 3월 5일로 일주일 미룬 상황에서 3월 1일까지 노사가 새 단체협약안을 내놓지 못하면 빅리그는 28년 만에 정규리그 취소 사태에 직면한다.

◇ MLB 노사분규 일지(한국시간 24일 현재)

순서 기간 형태 주요 이슈
1 1972.4.2∼14(13일) 파업 선수 연금·연봉 조정신청
2 1973.2.9∼26(18일) 직장폐쇄 연봉 조정신청
3 1976.3.2∼18(17일) 직장폐쇄 보류권 조항 해석 문제
FA 제도 설계로 논의 발전
4 1980.4.2∼9(8일) 파업 FA 제도와 선수 보상 문제
5 1981.5.30∼8.1(64일) 파업 FA 제도와 선수 보상 문제
6 1985.8.7∼8(2일) 파업 선수 연금·연봉 조정신청
최저연봉
7 1990.2.16∼3.19일(32일) 직장폐쇄 샐러리캡 수용 문제
최저연봉·연봉 조정신청
8 1994.8.13∼1995.3.22일(232일) 파업 샐러리캡
9 2021.12.2∼ 직장폐쇄 FA 제도·최저 연봉 등

[email protected]

Comments

번호   제목
57849 윌리안 '윌리안 멀티골' 수원FC, 포항 원정서 5골 폭발…시즌 첫 연승 축구 05:23 0
57848 폴 스킨스 MLB 유일한 1점대 ERA 스킨스, 불운 떨치고 54일 만에 승리투수 야구 05:23 0
57847 [프로축구 안양전적] 안양 4-0 대구 축구 05:23 0
57846 [프로야구 중간순위] 22일 야구 05:22 0
57845 외국인 드래프트서 흥국생명의 지명을 받은 레베카 '4년 만의 V리그 복귀' 레베카, 프로배구 컵대회 출격 여부 관심(종합) 농구&배구 05:22 0
57844 올해 1월 정진경 당시 본부장과 경기 지켜보는 김영만 본부장 WKBL 신임 경기운영본부장에 김영만 농구&배구 05:22 0
57843 1루에서 세이프되는 이정후(오른쪽) 이정후, 행운의 내야 안타 쳤지만…치명적인 수비 실수 야구 05:22 0
57842 김효주 스코틀랜드서 LPGA '메이저 전초전'…김효주·임진희 등 출격 골프 05:22 0
57841 울산전에서 결승 골을 터트린 서울 린가드의 경기 후 세리머니 모습. 울산 징크스 날려버린 서울 린가드, K리그1 22라운드 MVP 축구 05:22 0
57840 삼성 구자욱, 11시즌 연속 100안타 삼성 구자욱, 11시즌 연속 100안타…"팀 상위권 진입 위해"(종합) 야구 05:22 0
57839 수비하는 김하성(왼쪽) 또 부상인가…김하성, 허리 통증으로 조기 교체(종합) 야구 05:22 0
57838 [프로축구 광주전적] 광주 1-1 김천 축구 05:22 0
57837 [프로축구 중간순위] 22일 축구 05:21 0
57836 2025 코리아인비테이셔널 진주 국제여자배구대회 포스터 여자배구 대표팀 23일 재소집…코리아인비테이셔널 출격 담금질(종합) 농구&배구 05:21 0
57835 [프로야구] 23일 선발투수 야구 05:2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