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타르 월드컵 조직위, '가혹 노동' 사례 인정

카타르 월드컵 조직위, '가혹 노동' 사례 인정

주소모두 0 1,287 2022.04.07 20:38

국제앰네스티 "노동 관련법 잘 이행하도록 카타르 압박해야"

카타르 이주 노동자 인권 침해 항의하는 국제앰네스티 활동가
카타르 이주 노동자 인권 침해 항의하는 국제앰네스티 활동가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테헤란-연합뉴스) 이승민 특파원 = 카타르 월드컵 조직위원회가 대회 준비 과정에서 발생한 불법 노동 사례를 인정했다고 AP 통신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국제앰네스티 등 인권단체는 카타르 월드컵 인프라 건설, 보안 업무에 투입된 노동자들이 가혹한 근로 환경 속에서 고통받고 있다고 비판한 바 있다.

월드컵 조직위는 이날 성명을 내고 "3개 업체가 다양한 분야에서 노동 관련법을 어긴 것을 적발했다"며 "이런 위반은 절대 용납할 수 없고, 이들 업체는 향후 프로젝트에서 배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조직위는 "앞으로 프로젝트에 투입된 하청업체들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블랙리스트 제도 등 광범위한 개선 조치를 시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스티븐 콕번 국제앰네스티 경제·사회 정의 국장은 "월드컵 보안 요원들이 고용주가 법을 어긴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었지만, 저항할 수 없었다"며 "많은 근로자가 신체적·정서적으로 가혹한 환경에 내몰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FIFA(국제축구연맹)는 민간 분야의 가혹한 노동 환경에 집중해야 하며, 나아가서는 카타르가 근로 관련 법을 잘 이행하도록 영향력을 행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국제앰네스티는 카타르 월드컵 현장 노동자들이 일주일에 60시간 이상 근무하고, 휴일을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는 등 당국으로부터 착취당하고 있다고 비판해 왔다.

앞서 영국 일간 가디언은 2010년 월드컵 유치 이후 카타르에 온 이주노동자 가운데 6천750명이 사망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가디언에 따르면 사망자 중 인도 출신이 2천700여 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네팔(1천641명), 방글라데시(1천18명), 파키스탄(824명), 스리랑카(557명) 순이다.

[email protected]

Comments

번호   제목
열람중 카타르 월드컵 조직위, '가혹 노동' 사례 인정 축구 2022.04.07 1288
9443 여자농구 우리은행, 4년 만의 챔피언결정전 진출…KB와 격돌 농구&배구 2022.04.07 1002
9442 [여자농구 PO 2차전 전적] 우리은행 66-60 신한은행 농구&배구 2022.04.07 1115
9441 [프로야구 고척전적] LG 6-0 키움 야구 2022.04.07 1087
9440 5선발 이태양도 터졌다…SSG의 강력한 선발 야구 야구 2022.04.07 1391
9439 LG 김현수, '옛 동료' 정찬헌 상대로 '쾅'…3경기 연속 홈런 야구 2022.04.07 1014
9438 여자배구 도로공사, FA 이고은 보상 선수로 김세인 지명 농구&배구 2022.04.07 890
9437 후인정 KB 감독의 강렬한 외침…"인천에서 뵙겠습니다" 농구&배구 2022.04.07 879
9436 KLPGA 투어 개막전 첫날 '30대 선수' 김해림·안선주가 1·2위 골프 2022.04.07 1974
9435 프로축구연맹 "K리그1 포털 중계 시청자수, 작년보다 19% ↑" 축구 2022.04.07 1669
9434 30대 선두주자 김해림 "거리 욕심 비우고, 몸통 스윙으로 효과" 골프 2022.04.07 1887
9433 서튼 롯데 감독, 헤드퍼스트 슬라이딩 예찬 "굉장히 좋아한다" 야구 2022.04.07 1408
9432 김원형 SSG 감독 "추신수, 계속 1번으로 쓸 것…적합한 선수" 야구 2022.04.07 1307
9431 '인천 돌풍의 핵' 무고사, 2022시즌 첫 '이달의 선수상' 수상 축구 2022.04.07 1657
9430 조국과의 '특별한' 월드컵 본선 대결…벤투의 자세는 '프로답게' 축구 2022.04.07 1254